반응형 산업·기술 자료102 압력용기 두께 계산식 정리 – ASME Sec.VIII 기준 이해 압력용기 두께 계산식 정리 – ASME Sec.VIII 기준 이해이 글에서는 ASME Section VIII Division 1 기준에 따른 압력용기 두께 계산의 기본공식과 사용 변수, 부식 여유(Corrosion Allowance), 설계압력 개념을 설명합니다. 실무 설계 시 적용되는 최소 두께 계산 방식과 실사용 예시도 함께 다룹니다.1. 기본 개념설계압력 (Design Pressure): 운전 조건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압력 + 마진 포함설계온도 (Design Temperature): 기계적 성질 변화를 고려한 고온/저온 조건부식 여유 (Corrosion Allowance): 내부식성 또는 운전 중 마모를 고려한 추가 두께2. 셸 두께 계산 공식 (내압 기준)t = (P * R) / (SE - 0.6.. 2025. 6. 19. 플랜트 배관의 방폭 구역 설정 기준 – 위험지역 구분과 적용 예시 이 글에서는 플랜트 배관 시공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방폭 구역(Ex zone)의 설정 기준, IEC 및 국내 기준에 따른 구분 방식, 실제 설계 및 시공 시 고려사항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설명합니다.1. 방폭 구역 설정이란?방폭 구역(Ex Zone)이란, 폭발성 가스나 인화성 증기가 존재할 가능성에 따라 플랜트 내 구역을 구분하는 기준입니다.배관이 통과하는 지역에 따라 방폭 등급이 다르게 적용되며, 기기, 조명, 배관 자재 선정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2. IEC 및 국내 기준에 따른 위험지역 구분 구역 정의 예시 Zone 0폭발성 가스가 항상 또는 장시간 존재가스탱크 내부, 정제기 내부Zone 1평상시 운전 중 간헐적으로 가스 존재탱크 주입구 주변, 배출 벤트 주변Zone 2비정상 상황 시에만.. 2025. 6. 16. ASME 압력용기 제작 프로세스 완전 정복 – U-Stamp 없이 제작 가능한가? ASME 코드란 무엇인가? 산업용 압력용기의 국제표준 해설핵심 요약: 이 글에서는 국내 제조사가 ASME U-Stamp 인증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 대응 방법, 실제 제작 흐름, 실무자가 자주 묻는 FAQ(인증비용, 제작기간, 서류요건 등)를 중심으로 ASME 압력용기 제작의 전 과정을 정리합니다. 1. U-Stamp 없으면 제작이 불가능한가?ASME 압력용기 중 U-Stamp는 인증된 제작소에서 직접 제작해야만 부착 가능하므로, 제조사가 직접 보유하지 않았다면 대행 제작이 아닌, 인증을 가진 제작소를 통한 OEM/외주제작만이 유일한 방법입니다.인증대행사가 U-Stamp를 대신 따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부 대행사는 절차를 지원하거나 문서 정리를 도와주는 컨설팅 역할을 수행할 수는 있으나, 실제 .. 2025. 6. 14. 산업용 배관 시공 시 주의사항 – 가스 배관 편 산업 플랜트 및 실험실, 제조 현장에서 가스를 사용하는 설비의 배관 시공은 단순한 공사가 아닙니다. 고압가스는 누출 시 폭발, 화재, 질식과 같은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단계부터 자재 선정, 시공, 검사, 운영까지 전 과정에서 정밀한 기준과 경험 기반의 시공 관리가 필수입니다.1. 배관 재질 선정 – 사용 목적에 맞는 적합성 확보가스 배관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는 사용되는 가스의 성질과 배관 재질의 적합성입니다. 부식성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탄소강 배관은 부적절하며 STS304/316 계열의 스테인리스 배관이나 구리 동관이 요구됩니다. 또한 고압가스일 경우 KGS 인증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법적으로도 의무입니다.도시가스/일반 연료가스: 탄소강 관(CS, SCH40 .. 2025. 6. 13. 가스 압력 단위 & 변환 계산법 – bar, kg/cm², psi 정리 bar, kg/cm², psi 등 자주 쓰이는 압력 단위를 쉽게 비교하고 변환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현장 실무자, 가스기능사 수험생 모두에게 꼭 필요한 압력 계산 공식과 예제 문제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1. 주요 압력 단위 비교단위명칭사용 용도표기bar바유럽/산업 플랜트 기준1 bar = 100,000 Pakg/cm²킬로그램 퍼 제곱센티미터국내 실무에서 흔히 사용1 kg/cm² ≈ 0.9807 barpsi파운드 퍼 스퀘어 인치미국식 공압 설비1 psi = 0.06895 barPa파스칼국제 표준 단위1 atm = 101,325 Pa2. 압력 단위 변환 공식 요약변환공식kg/cm² → bar1 kg/cm² × 0.9807 = barbar → kg/cm²1 bar × 1.0197 = kg/cm²psi → b.. 2025. 6. 13.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10년 분석 – 과목별 출제빈도 TOP 20 가스기능사 자격증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기출문제의 출제 패턴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최근 10년간(2014~2023년) 시행된 가스기능사 필기시험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 핵심 개념과 주요 문제 유형을 정리하고, 자주 출제된 예시 문제와 해설을 함께 제공합니다.출제 비중 높은 공통과목연소공학: 연소의 3요소, 발열량 계산, 연소효율 등연소기기: 버너, 가스밸브, 압력조정기 등 주요 장치 기능안전관리: 폭발범위, 화재 예방, 점검 절차가스설비: 배관설계, 압력손실 계산법규 및 제도: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설치기준TOP 20 출제빈도 핵심 개념 & 예시 문제 (객관식 5지선다 포함)1. 연소 시 공기비가 1보다 작을 경우의 현상은?A. 과잉 공기 상태B. 완전 연소 상태C. 불완전.. 2025. 6. 9. 이전 1 ··· 5 6 7 8 9 10 11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