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업·기술 자료/산업 규격·기준표 자료 (KS·JIS·ANSI)13

플랜지 규격표 완전 가이드 – KS·JIS·ANSI/DIN 차이와 선택 기준 플랜지 규격표 완전 가이드 – KS·JIS·ANSI/DIN 차이와 선택 기준핵심 요약:플랜지는 배관, 밸브, 펌프 등 산업 설비를 연결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KS·JIS·ANSI/DIN 규격은 국가별·산업별로 차이가 있으며, 설계 단계에서 올바른 규격을 선택하지 않으면 시공 오류·비용 증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는 각 규격의 특징과 차이, 선택 기준을 실무 관점에서 정리했습니다.1. 플랜지 규격이 중요한 이유플랜지(Flange)는 배관과 설비를 연결하는 기계요소로, 볼트·가스켓과 함께 조립되어 유체 누설을 방지합니다. 프로젝트 설계·조달 단계에서 플랜지 규격이 잘못 지정되면 시공 불량, 가공비 증가, 납기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계자는 발주처 표준과 현장 조건에 맞는 규격을 정확.. 2025. 8. 3.
ANSI CLASS별 압력 등급표 (ASTM A105 기준) ANSI(미국 기계학회) 기준에 따라 배관 구성 요소(플랜지 등)에 사용되는 ANSI CLASS는 다음과 같은 압력-온도 등급표를 따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재질인 ASTM A105 (탄소강) 기준의 ANSI CLASS별 최대 허용 압력 (Pressure Rating)을 정리한 표입니다.ASME Class란?ASME Class는 플랜지, 밸브, 피팅류 등 압력용 부품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허용 압력 등급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Class 150, 300, 600, 900, 1500, 2500 단위로 구분되며, 온도와 재질에 따라 허용 압력이 달라집니다.ANSI CLASS별 압력 등급표 (ASTM A105 기준) 온도 (°C) CLASS 150 CLASS 300 CLASS 600 CLASS 900.. 2025. 7. 3.
플랜트 도면 기호 30선 – P&ID 기호 심화 해설 플랜트 설비, 배관 설계, 유지보수 업무를 하다 보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것이 도면(P&ID, PEFS 등)이다.그런데 도면 속에 등장하는 기호(Symbol)들은 생소할 수 있다.특히 배관 도면에서는 펌프, 밸브, 계기류, 제어 신호 등 표준화된 심볼 체계가 존재하며,이해하지 못하면 설비 구조나 운전 순서를 파악하기 어렵다.이번 글에서는 플랜트 설비 실무에서 자주 등장하는 대표 배관 기호 30개를 정리한다.핵심 개념 설명 (Definition & Basics)P&ID (Piping & Instrumentation Diagram):→ 배관 + 장비 + 계기류 + 제어 흐름까지 모두 포함한 설계 도면PEFS (Process Engineering Flow Scheme):→ P&ID에서 주로 공정 흐름 중심으로.. 2025. 4. 8.
P&ID 보는 법 완전 정리 – 실무자가 자주 실수하는 해석 포인트 5가지 P&ID 도면 해석 시 자주 발생하는 실수 5가지를 정리하고, 실제 현장에서 도면을 읽는 방법과 해석 순서를 실무 중심으로 안내합니다.1. 서론 – 심볼만 아는 건 ‘읽는 것’이 아니다“심볼은 외웠는데… 도면을 보니 하나도 모르겠어요.”“어디서부터 읽어야 하죠?”P&ID는 설계자의 설계 의도, 운전 방식, 계장 제어가 모두 담긴 기술 문서이자 언어다.이번 글에서는 실제 실무에서 P&ID를 해석할 때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 5가지와올바른 해석 순서, 체크포인트를 정리한다.2. 실무자들이 자주 실수하는 해석 포인트 5가지① 흐름 방향을 제대로 못 잡는다배관은 왼쪽 → 오른쪽, 위 → 아래 방향으로 흐름이 표시되지만,분기/환류/루프 구성일 경우 헷갈리기 쉬움유체 흐름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음→ 이걸 놓.. 2025. 4. 7.
플랜트 도면 종류 완전 정리 – P&ID, PEFS, GA, ISO 도면의 차이와 용도 플랜트 설비 도면의 종류와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P&ID, PEFS, GA, ISO 도면의 정의와 실무 적용 사례를 통해 설계와 시공 흐름을 이해하세요.1. 서론 – 설계 도면이라고 다 같은 도면이 아니다“이거 GA 도면인가요, P&ID인가요?”“도면은 있는데 시공을 못하겠어요.”플랜트 설계 도면에는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형식, 정보, 해상도, 관점이 존재한다.특히 설비 배관과 관련된 도면은 설계→승인→제작→시공→운전 단계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이번 글에서는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P&ID, PEFS, GA, ISO 도면의 역할과 차이를 정리한다.2. 도면의 기본 분류 도면명 전체 명칭 목적 P&IDPiping & Instrumentation Diagram배관 흐름 + 계장 제어PEFSProces.. 2025. 4. 6.
배관 규격과 스케줄(Schedule)의 모든 것 – 플랜트 배관 설계 기초 가이드 배관 규격표는 따로 정리하였습니다. 규격표가 필요하시다면 참고하여 주세요.>2025.03.05 - [산업·기술 자료] - 배관용/압력배관용/일반구조용 강관 규격표 (Steel Pipe Specifications) 배관용/압력배관용/일반구조용 강관 규격표 (Steel Pipe Specifications)배관용 및 일반배관용 강관 규격 총정리! 주요 강관 규격과 산업별 적용 사례를 한눈에 확인하세요.1. KS / JIS / ASTM 강관 규격 비교참고: 각 규격은 해당 국가의 표준을 나타내며, 용도에 따라 선nowday.tistory.com 1. 배관 규격(Pipe Size)이란?배관 규격은 공칭 직경(NPS: Nominal Pipe Size) 또는 **DN(Diameter Nominal)**으로 표기됩니.. 2025.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