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설비에서 위생 관리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CIP(Clean-In-Place)와 SIP(Steam-In-Place)입니다. 시스템의 원리, 구성 요소, 설계 기준 및 실무 적용 포인트를 정리합니다.
1. CIP / SIP란 무엇인가?
구분 | 정의 | 주요 목적 |
CIP | Clean-In-Place | 설비 내부 자동 세척 (화학세정) |
SIP | Steam-In-Place | 설비 내부 자동 멸균 (증기멸균) |
- CIP: 고순도수(PW), 세정제(NaOH 등)로 내부 세척
- SIP: 포화증기(Steam)를 활용해 열 살균 수행
- 둘 다 설비 분해 없이 자동 실행, GMP 요건 만족
GMP란?
>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을 의미하며, 의약품·건강기능식품·의료기기 제조 시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는 소비자 보호를 목표로 하며, 제조 전 과정에서 엄격한 관리와 문서화를 요구합니다
2. 시스템 적용 위치
- 바이오 리액터(발효조)
- 저장 탱크
- 배관 & 벨브라인 내부
- 여과기 하우징
- 충전기, 제약 장비 내부
→ 설비의 유체 접촉면 전체가 CIP/SIP의 대상
3. CIP 시스템 구성
구성 요소 | 역할 |
CIP Tank (저장탱크) | 세정제 / 헹굼수 저장 |
Pump | 세정액 순환 |
Heat Exchanger | 온도 조절 (예: 80℃) |
Filter / Return Line | 배출/회수 관리 |
Control Valve | 라인별 자동 전환 제어 |
PLC / HMI | 자동 제어 시스템 구성 |
→ Fully-automated 루프 구성 + 스키드 타입 모듈화 형태가 일반적
4. SIP 시스템 구성
-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또는 공장 메인 스팀 사용
- 배관 라인 루핑 구성 → 모든 지점에 증기 분사 가능해야 함
- Condensate Drain 필수 → 응축수 배출 안 되면 멸균 실패
- 일반적으로 121°C, 15~30분간 증기 주입
5. 설계 기준 및 검증
- GMP/PIC/S 기준에 따라 Validation 수행 필요
- 세정/멸균 후 다음 검증 필요:
- TOC (총유기탄소) 분석
- Endotoxin (내독소) 분석
- ATP Test (세균성 잔류물)
- 배관 기울기 (Slope) ≥ 1:100, Dead Leg ≤ 2D 유지
6. 실무 TIP
- 세정 실패 원인 중 1순위는 Drain 설계 오류
- CIP/SIP 라인은 루핑 및 자력배수 가능하게 구성
- Ball Valve 사용 지양, 대신 Diaphragm Valve 우선 적용 (이는 굉장히 기본적이지만 중요함, 추후 별도 포스트작성 예정)
- SIP 후 응축수 배출 위한 low-point drain 꼭 확보해야 함
연관 콘텐츠 추천
반도체 설비와 제약 설비의 차이점 – 실무 중심 설계·영업 대응 가이드
반도체와 제약 설비는 겉보기엔 유사한 클린 환경에서 작동하지만, 설계 기준·설비 구조·검증 방식에서 완전히 다른 철학을 가진다. 본 포스트는 제약 설비로 영업 확장하려는 기술영업자·설
nowday.tistory.com
플랜트 도면 종류 완전 정리 – P&ID, PEFS, GA, ISO 도면의 차이와 용도
플랜트 설비 도면의 종류와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P&ID, PEFS, GA, ISO 도면의 정의와 실무 적용 사례를 통해 설계와 시공 흐름을 이해하세요.1. 서론 – 설계 도면이라고 다 같은 도면이 아니다“이
nowday.tistory.com
클린룸 급기(AHU, FFU)와 배기 설비 구성도 – 설계자용 해설
이 글에서는 클린룸의 급기(AHU, FFU) 및 배기 흐름 구성과 HEPA 필터 조합 방식, 제약 vs 반도체 클린룸의 공조 차이, 차압 유지 및 필터 교체 주기를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1. 클린룸 공조 시스템 개
nowday.tistory.com
'산업·기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압력용기 산안 갑종/을종 구분 기준 – 실무 정리 (0) | 2025.07.15 |
---|---|
ASME BPE란? – 제약 및 바이오 공정 배관 규격 완전 정리 (0) | 2025.07.13 |
WPQ 자격 취득 방법 & 시험비용 – 용접 실무자를 위한 가이드 (1) | 2025.07.08 |
배관 라인 넘버 해석법 & 규격 의미 – 도면 보는 법 총정리 (0) | 2025.07.08 |
ASME B16.5 vs B16.47 – 플랜지 규격 차이 정리 (Series A vs B) (0)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