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업·기술 자료/기타 산업기술 자료8

"이제 독립 도메인으로 새출발 합니다!" "기존 nowday.tistory.com에서https://www.nowdaylab.com/으로 이전했습니다. 앞으로 더 자주 업데이트됩니다." 2025. 7. 28.
흡입양정이란? – 펌프 설계와 설치 시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개념 펌프 설비를 설계하거나 설치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흡입양정(Suction Lift)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흡입양정과 양정(Head), 압력(P) 개념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자흡식 펌프나 탱크 하부 설치 조건에서 이 개념이 명확하지 않으면 운전 불능이나 캐비테이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 흡입양정이란?흡입양정(Suction Lift)이란 펌프의 흡입구보다 유체의 수면이 낮은 경우, 그 높이 차이를 말한다.즉, 펌프가 유체를 "끌어올려야 하는 높이"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흡입양정 = 펌프 흡입구와 유체면 간의 수직 거리 (단위: m)유체면이 펌프보다 낮으면 → 양의 흡입양정 (Suction Lift)유체면이 펌프보다 높으면 → 흡입 정수.. 2025. 6. 2.
배관 압력손실 계산기 (엑셀 템플릿 포함) – 실무 설비 설계자를 위한 가이드 개요 및 활용 목적배관 설비를 설계하거나 검토할 때, 유체가 배관을 따라 흐르면서 발생하는 압력손실(ΔP)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는 펌프 용량 선정, 필터/밸브 위치 최적화, 시스템 효율 검토 등 다양한 영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Darcy-Weisbach 공식을 기반으로 한 압력손실 계산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엑셀 템플릿을 통해 실무에서 반복 계산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① Darcy–Weisbach 공식 정리공식:ΔP: 압력손실 (Pa)f: 마찰계수 (무차원)L: 배관 길이 (m)D: 배관 직경 (m)ρ: 유체 밀도 (kg/m³)v: 유속 (m/s)보통 압력손실은 Pa, bar, 또는 mmH₂O로 변환하여 사용하며, 단위 변환을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1 .. 2025. 4. 22.
Cv값 유량 계산기 (엑셀 템플릿 무료 배포) 현장에서 밸브나 필터 하우징, 압력용기 등의 설비 사양을 검토할 때 자주 등장하는 Cv값. 이 Cv값을 기준으로 실제 유량(Q) 을 계산해야 할 일이 많은데, 공식은 간단해 보여도 막상 엑셀에 넣어서 돌리는 건 은근 귀찮고 실수도 자주 납니다.그래서 준비했습니다. Cv값을 기반으로 GPM 유량을 자동 계산해주는 실무용 엑셀 템플릿!본 포스트에서는 Cv 공식부터 유량 변환 방식, 엑셀 계산기 다운로드까지 전부 안내드립니다.Cv값이란?Cv (Flow Coefficient) 는 유량 계수라고 하며, 장비나 밸브가 주어진 압력차(ΔP)에서 얼마나 많은 유체를 통과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공식: Q = Cv × √(ΔP / SG)Q = 유량 (GPM)ΔP = 압력차 (psi)SG = 유체의 비중 (물: 1.0.. 2025. 4. 17.
설비 안전점검 체크리스트 – 현장 반장들이 자주 쓰는 항목 15선 산업 현장에서 안전은 ‘선택’이 아닌 ‘의무’입니다.특히 공정설비, 배관, 압력기기, 전기기계류 등 가동 장비가 많은 현장에서는정기적인 안전점검을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법적 책임을 줄이며, 가동 중단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합니다.본 포스트에서는 현장 실무자(반장, 안전관리자, 보전팀 등)가매일 또는 주간 단위로 활용 가능한 설비 안전점검 항목 15가지를체크리스트 형식 + 전문 해설과 함께 정리합니다.점검 전 준비사항안전모, 보안경, 장갑 착용점검 기록지/태블릿 준비LOTO(Lock-Out Tag-Out) 적용 필요시 사전 조치정전 여부, 기계 정지 여부 확인 https://nowday.tistory.com/주요 점검 항목 15선 구분 항목점검 내용점검 빈도 1배관 누설 여부연결부·밸브·용접부 .. 2025. 4. 9.
설비 유지보수 전략 완전 정리 – 예방정비 vs 사후정비, 뭐가 더 효과적일까? 예방정비(PM), 사후정비(BM), 예측정비(PdM)의 개념과 차이, 장단점, 산업별 적용 전략까지 설비 유지보수의 핵심을 정리합니다.1. 서론 – 고장이 나야 고치는 게 정답일까?“장비는 돌아가고 있는데 굳이 뜯어봐야 하나요?”“미리 정비하려다 오히려 문제 생긴 적 있어요.”설비 유지보수 전략은 단순히 ‘점검할까 말까’의 문제가 아니다.장기적인 비용, 품질, 납기, 고객 클레임을 좌우하는생산 현장의 핵심 전략이다.이번 글에서는 설비 유지보수의 대표 전략인예방정비(PM), 사후정비(BM), 예측정비(PdM)그리고 최근 주목받는 TPM(총체적 생산 보전) 개념까지 함께 정리한다.2. 유지보수 전략의 3가지 유형 구분 방식 핵심 목적 장점 단점 사후정비 (BM)고장 발생 후 수리고장난 후 빠르게 복구단.. 2025.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