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WDAY ORIGINAL/기업 리서치

한화비전 기업 분석 – AI 영상보안 혁신과 글로벌 성장 전략

by NOWDAY 2025. 6. 24.

이 글에서는 한화비전의 주요 사업 구조, 최근 5개년 실적, AI 기반 영상보안 기술력, 글로벌 시장 경쟁력, 경쟁사 비교, 최근 사업 동향 및 투자 전략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Hanwha Vision AI CCTV and cloud security platform analysis graphic
AI 기반 영상보안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도약 중인 한화비전

1. 기업 개요 – 영상보안의 ‘삼성전자’를 꿈꾸는 기업

  • 기업명: 한화비전 (구 한화테크윈, 삼성테크윈)
  • 산업 분야: 스마트 영상보안 솔루션 (AI CCTV, 저장장치, 분석 플랫폼 등)
  • 설립 연도: 1977년 (2023년 한화비전으로 리브랜딩)
  • 소속 그룹: 한화그룹 (방산·우주·에너지 계열사와 시너지 가능)
  • 주요 고객: 스마트시티, 산업단지, 공공기관, 유통·물류, 항공·항만

영상보안 하드웨어를 넘어 클라우드 기반 통합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 중


2. 5개년 재무 실적 및 2025년 전망

연도 매출(억원) 영업이익(억원) 영업이익률 비고
206,4504106.4%코로나 영향에도 견조
216,9705407.7%실적 반등 시작
227,8206107.8%AI 라인업 강화
238,1606708.2%Wisenet AI 확대
2416,4101,84011.2%전년대비 +100% 이상 성장
25E19,3402,00210.4%세미텍 실적 본격 반영

2024년은 AI 수요 확대와 북미·유럽 수출 호조로 매출 1.6조 돌파, 2025년은 세미텍 본격 기여


3. 주요 제품 및 기술 경쟁력 – AI 중심 영상보안 플랫폼의 진화

한화비전은 단순한 CCTV 하드웨어 제조사에서 벗어나, AI SoC 기반 지능형 카메라, 클라우드 영상분석 플랫폼, 통합 보안 운영 솔루션까지 포괄하는 영상보안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엣지 컴퓨팅, 생성형 AI, 사이버 보안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한 제품군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 중입니다.

① AI SoC 기반 지능형 카메라 – Wisenet 시리즈의 고도화

한화비전은 자체 개발한 SOC를 탑재하여 고성능카메라를 자체 생산중이다.
한화비전의 AI 카메라 시리즈 (출처:한화비전)

한화비전은 자체 개발한 Wisenet AI SoC(시스템온칩)을 탑재한 고성능 카메라 시리즈를 통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Wisenet X Core, Wisenet X Plus, Wisenet P AI 시리즈를 새롭게 출시하며 다음과 같은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 AI 기반 객체 분류 정확도 95% 이상: 사람, 차량, 동물, 얼굴, 번호판 등을 정확하게 구분
  • 엣지 단 실시간 분석: 서버 없이 카메라 내에서 영상 분석 및 알림 기능 수행 (NVR 불필요)
  • 저조도/역광 성능: Extreme WDR, WiseNR II 등 노이즈 제거 기술로 어두운 환경에서도 선명한 영상 제공
  • 스마트 코덱(H.265 + WiseStream III)으로 저장용량 및 네트워크 비용 50% 이상 절감

특히 미국·유럽 정부기관 납품을 위한 FIPS 140-3, UL CAP, TPM 2.0 등 국제 보안 인증을 획득하며 기술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클라우드 기반 영상 분석 플랫폼 – SightMind & HealthPro

SightMind는 한화비전이 자체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 AI 영상 보안 분석 플랫폼으로, 기업 고객이 수십~수백 대의 CCTV를 효율적으로 운영·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이상 행동 탐지: 쓰러짐, 배회, 장시간 체류 등 비정상 행동 실시간 탐지
  • 스마트 이벤트 검색: 대규모 영상에서 원하는 시간대/행위 검색 시간 90% 단축
  • 웹 기반 대시보드: 위치별 카메라 모니터링, 이벤트 로그 실시간 분석 가능
  • VSaaS(영상보안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형태로 월 구독형 수익 모델 기반

또한 HealthPro는 카메라 상태 모니터링 및 예지보전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영상 송출 불량, 화질 저하, 저장 실패 등의 문제를 사전 진단할 수 있어 기업용 유지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습니다.


③ 스마트시티·산업보안 특화 솔루션

편리함을 갖춘 안전한 도시, 한화비전 스마트시티 솔루션으로 시작하세요.
한화비전의 솔루션에는 산업과 도시 인프라에 특화된 진보된 기술이 집약되어있다.

한화비전은 단순 공공CCTV를 넘어 산업·도시 인프라에 특화된 스마트 보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교통 인프라용 번호판 인식 카메라 (LPR): 차량 속도 추적, 블랙리스트 탐지 등 교통 통제 솔루션
  • 산업시설용 열화상 카메라: 배전반 온도 이상 탐지, 화재 예방용 고온 감지 기능 탑재
  • 군집 분석: 쇼핑몰, 행사장 등에서 밀집도 및 동선 분석 가능
  • 클린룸/반도체 공장용 보안 시스템: 화학물질 누출, 보호구 착용 여부 인식 기능

④ 사이버보안 경쟁력 – 글로벌 보안 인증 및 내장 보안 기술

영상보안장비의 사이버 보안 강점은 해외에서 더 인기가 많다
영상 보안장비의 사이버 보안에서도 강점이 있다 (출처:한화비전 홍보영상)

한화비전은 영상보안 장비의 사이버 보안 강화에 앞장서며 글로벌 규제 대응을 선제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 FIPS 140-3 Level 3 인증: 미국 연방정부 보안 요구조건 만족
  • UL CAP (Cybersecurity Assurance Program) 획득
  • TPM 2.0 보안칩 탑재: 펌웨어 무결성 검증 및 암호키 하드웨어 보관
  •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공개로 소프트웨어 구성 투명화
  • 펌웨어 백도어 방지, 원격 삭제 불가, 무선통신 차단 등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지향

⑤ AI 생태계 확장 – 생성형 AI·클라우드 연동 전략

한화비전의 AI기반 스마트 솔루션 개념도
클라우드를 활용하여 VMS 연동, 관리서비스(솔루션) 제공 (출처:한화비전 회사소개서)

2024년 이후 한화비전은 생성형 AI 기술(GAI)을 접목해 영상보안 분석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 상황 설명 자동화: “경비구역 내 침입 → 경고 방송 송출” 등 자연어 설명 기능
  • 지능형 경고 시나리오 생성: 학습 기반으로 최적 경보 조건 자동 추천
  • 카메라+클라우드 연계 구독 서비스VSaaS 본격 확대, 미국·일본 시장 진출 준비 중

⑥ 반도체 기술 내재화 – 자회사 '세미텍' 통한 TC 본더 확대

한화비전은 세미텍 사업부를 통해 영상보안 SoC 생산을 위한 TC 본더 장비 및 후공정을 내재화하고 있습니다
한화비전의 주가 반응은 세미텍 사업쪽에 더 민감한 추세이다

한화비전은 세미텍 사업부를 통해 영상보안 SoC 생산을 위한 TC 본더 장비 및 후공정을 내재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자사 제품의 가격 경쟁력 및 성능 일관성 확보에 큰 기여를 하며, 장기적으로 영상보안 반도체 독립성을 갖추는 전략적 포석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한화비전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AI 분석·클라우드·보안·반도체를 아우르는 End-to-End 영상보안 기술 플랫폼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글로벌 1~2위 중국 기업들과는 품질·보안·AI 경쟁력에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4. 고객군 및 산업 내 입지

  • LG·SK와 달리 외부 매출 비중이 높은 구조
  • 수출 비중 약 70%, 주요 시장: 미국, 유럽, 중동, 동남아
  • 스마트시티, 병원, 공항, 항만 등 글로벌 인프라 프로젝트 다수 수주
  • 삼성SDS·하이크비전·다화테크놀로지와의 차별점: 보안/AI/클라우드 기술 결합

미국 시장 내 중국산 CCTV 퇴출 추세는 한화비전에게 구조적 수혜


5. 최근 사업 동향 및 모멘텀

  • 2024년: 'Hanwha Vision Cloud' 출범, VSaaS 구독형 수익 모델 본격화
  • 2025년: 세미텍 턴어라운드, AI 분석 기반 통합보안 패키지 확대
  • 스마트팩토리·재난감지·군사보안 등으로 적용 분야 다변화 중

6. 원화 스테이블코인 참여 기대감

  • 2024년 상반기부터 OBDIA(오픈블록체인·DID협회) 스테이블코인 분과 참여
  •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인프라 구축 역량 확보 중
  • 이재명 정부의 디지털금융 확대 정책과 맞물려 ‘CBDC+스테이블코인’ 테마 수혜 예상

CBDC ‘프로젝트 한강’ 참여는 아니지만,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구축에 한화그룹의 기술 계열사로 거론되는 중


7. 투자 전략 및 리스크 요인

투자 포인트

  • 2025년 예상 실적 기준 PER 11배 수준 → 저평가 매력
  • 글로벌 AI 보안 수요 확대 + SaaS형 사업 구조 전환
  • 중국 CCTV 견제 기조 지속 → 한화비전 구조적 수혜주

리스크 요인

  • 공공 프로젝트 의존도, 외화 환율 리스크
  • 경쟁사 대비 브랜드 인지도 약세
  •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가 장기 과제
<마무리>

한화비전은 단순 하드웨어를 넘어선 AI·클라우드·SoC 기반의 영상보안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 중입니다. 2025년 세미텍 실적 본격 반영과 더불어 글로벌 점유율 확대, 보안 규제 강화 수혜가 겹치며 기업가치 재평가가 가능한 시점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사업내용이나 기술력, 실적들 너무 매력적이라고 생각해서 좋아하는 회사 중 하나입니다. 
“AI CCTV + 클라우드 + 영상보안 반도체”라는 3박자를 모두 확보한 드문 종목으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충분한 성장성과 리레이팅 기대가 있습니다.
 

LG CNS 블록체인·AI 혁신과 스테이블 코인 성장 전략

LG CNS 기업 분석 포스트 – LG CNS 블록체인 플랫폼과 AI 기술 기업으로서의 경쟁력, 최근 재무 실적, 주요 사업 부문, 고객군 및 CBDC 프로젝트 한강 참여 등 종합 정리.1. 기업 개요 – 디지털 전환의

nowday.tistory.com

 

상법개정 수혜주, 왜 코오롱인가? – 지배구조 개편과 자산가치 리레이팅의 기회

이재명 정부의 상법 개정과 함께 지배구조 수혜주로 떠오른 코오롱. 방대한 계열사, 저평가된 자산가치, 자회사 리레이팅 기회를 정밀 분석합니다.POINT이재명 정부의 상법 개정 드라이브로 인해

nowday.tistory.com

 

파수(150900) 기업 분석 – 국내 1위 DRM 보안 기업, 클라우드 시대의 수혜주 될까?

문서 보안 솔루션 선두주자 '파수'의 기술력, 수익성, 글로벌 전략을 집중 분석합니다. DRM부터 클라우드 보안까지, 국내 유일의 보안 SW 전문 기업을 심층 해부!기업 개요파수(구 파수닷컴)는 2000

nowday.tistory.com

 

기술로 승부하는 제놀루션, 팬데믹 이후에도 살아남은 이유

정밀의료 시대, 핵심은 분자진단 기술의료 기술이 고도화되며 정밀의료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다.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고,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흐름 속에서 핵심 키워드는 분자진단.

nowda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