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 설계 압력 기준 – KOSHA, ASME, API 기준 비교와 실무 적용
이 글에서는 배관 설계 시 기준이 되는 압력(Design Pressure)을 KOSHA, ASME, API 등의 규정에 따라 어떻게 정하는지를 비교하고, 실무에서 자주 적용되는 압력 산정 방식과 유의사항을 정리합니다. EPC 프로젝트나 배관 시스템 설계 시 혼동되기 쉬운 '운전압력 vs 설계압력 vs 시험압력'의 차이도 명확히 짚어드립니다.1. 설계 압력이란 무엇인가?설계 압력(Design Pressure, DP)은 배관, 압력용기, 밸브 등의 기계요소가 안전하게 견뎌야 할 최대 기준 압력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정상 운전압력보다 높은 값을 설계 압력으로 잡아야 하며, 이는 다음의 목적을 충족하기 위함입니다:순간 압력 상승(수격, 유량 변화 등) 대응시험 압력(압력 시험) 산출 기준배관 등급(Material..
2025. 7. 3.
반도체 배관 유체 구분 완전 정리 – HCW, HCH, LCH의 차이와 스팀트랩의 역할까지
이 글에서는 반도체 플랜트 배관에서 사용되는 주요 유체(HCW, HCH, LCH)의 구분 기준, 온도 범위, 적용 배관 재질, 스팀트랩의 역할과 선정 방법을 실무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1. HCW, HCH, LCH란? 구분 약어 의미 공급온도 주요 용도 고온순수수 (고온공급)HCWHot Clean Water약 80~90℃온수식 온도 제어, 세정용고온냉각수 (순환수계열)HCHHot Chilled Water약 40~60℃CMP, Etcher 등 온도 안정저온냉각수 (저온공급)LCHLow Chilled Water약 10~20℃반응기 냉각, 일반 냉각HCW는 UPW(Ultra Pure Water) 기반의 고온수로, 세정과 온도 제어를 동시에 담당합니다.HCH는 저온 냉각 후 약간 가열된 냉각수로, 온도 ..
2025.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