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배관 설계 시 기준이 되는 압력(Design Pressure)을 KOSHA, ASME, API 등의 규정에 따라 어떻게 정하는지를 비교하고, 실무에서 자주 적용되는 압력 산정 방식과 유의사항을 정리합니다. EPC 프로젝트나 배관 시스템 설계 시 혼동되기 쉬운 '운전압력 vs 설계압력 vs 시험압력'의 차이도 명확히 짚어드립니다.
1. 설계 압력이란 무엇인가?
설계 압력(Design Pressure, DP)은 배관, 압력용기, 밸브 등의 기계요소가 안전하게 견뎌야 할 최대 기준 압력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정상 운전압력보다 높은 값을 설계 압력으로 잡아야 하며, 이는 다음의 목적을 충족하기 위함입니다:
- 순간 압력 상승(수격, 유량 변화 등) 대응
- 시험 압력(압력 시험) 산출 기준
- 배관 등급(Material Class) 결정 기준
2. 주요 기준별 설계압력 규정
기준 | 설계 압력 규정 | 비고 |
KOSHA D-5-2012 | 운전압력 x 1.1배 또는 1.8kgf/cm² 중 큰 값 | 화학물질 설비 기준 |
ASME B31.3 | 최대 예상 압력 + 안전 여유 | 정확한 계수는 프로젝트별 설정 |
API 기준 | 운전압력 x 1.5배 (일반적) | 발주처에 따라 달라짐 |
AWWA | 주로 저압 배관 기준, 정수·상수도용 | 상세 설계서 요구 |
발주처 EPC SPEC | 발주처 요구 조건에 따름 | 대부분 1.5배 채택 |
💡 실무에서는 KOSHA 기준보다 1.5배를 적용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특히 OIL & GAS, 화공 EPC 프로젝트에서 일반적인 규격입니다.
3. 운전압력 vs 설계압력 vs 시험압력 구분
구분 | 정의 | 비고 |
운전압력 (Operating Pressure) | 정상 운전 시 배관 내부의 압력 | 예: 펌프 토출압 |
설계압력 (Design Pressure) | 배관이 안전하게 견딜 수 있어야 하는 압력 | 일반적으로 운전압력 x 1.5 |
시험압력 (Test Pressure) | 실제 제작 완료 후 실시하는 수압/기밀 시험 시 압력 | 설계압력 x 1.3 ~ 1.5 |
4. 실무 적용 팁
- KOSHA만 참고하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EPC 현장에서는 발주처 SPEC이 우선됩니다.
- TEST 압력에 따라 RATING이 바뀔 수도 있음 – 설계 초기단계에서 정확한 운전조건 확인 필요
- 배관 사이징 시 PN, CLASS 선정에 직접 영향 – 특히 ANSI CLASS (150#, 300#, 600#) 구분에서 중요
ANSI CLASS별 압력 등급표 (ASTM A105 기준)
ANSI(미국 기계학회) 기준에 따라 배관 구성 요소(플랜지 등)에 사용되는 ANSI CLASS는 다음과 같은 압력-온도 등급표를 따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재질인 ASTM A105 (탄소강) 기준의 ANSI CLASS별 최대 허
nowday.tistory.com
5. 예시 계산: 설계압력 산정
- 운전압력: 10kgf/cm²
- KOSHA 기준: max(10 x 1.1 = 11, 1.8) → 11kgf/cm²
- 일반 EPC 적용: 10 x 1.5 = 15kgf/cm²
- → 이 경우 ASME Class 150#는 부족 → Class 300# 선택 필요
6. 결론
설계 압력 기준은 단순히 KOSHA 지침만 보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 특성, 발주처 요구사항, 국제 설계코드(ASME/API) 등을 종합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실무에서는 '1.5배'를 기본으로 보고, TEST 압력 기준까지 반영하여 배관 등급(Material Class)을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압력용기 두께 계산식 정리 – ASME Sec.VIII 기준 이해
압력용기 두께 계산식 정리 – ASME Sec.VIII 기준 이해이 글에서는 ASME Section VIII Division 1 기준에 따른 압력용기 두께 계산의 기본공식과 사용 변수, 부식 여유(Corrosion Allowance), 설계압력 개념을 설
nowday.tistory.com
반도체 배관 유체 구분 완전 정리 – HCW, HCH, LCH의 차이와 스팀트랩의 역할까지
이 글에서는 반도체 플랜트 배관에서 사용되는 주요 유체(HCW, HCH, LCH)의 구분 기준, 온도 범위, 적용 배관 재질, 스팀트랩의 역할과 선정 방법을 실무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1. HCW, HCH, LCH란? 구분
nowday.tistory.com
가스 압력 단위 & 변환 계산법 – bar, kg/cm², psi 정리
bar, kg/cm², psi 등 자주 쓰이는 압력 단위를 쉽게 비교하고 변환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현장 실무자, 가스기능사 수험생 모두에게 꼭 필요한 압력 계산 공식과 예제 문제까지 포함되어 있습니
nowday.tistory.com
흡입양정이란? – 펌프 설계와 설치 시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개념
펌프 설비를 설계하거나 설치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흡입양정(Suction Lift)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흡입양정과 양정(Head), 압력(P) 개념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자흡식
nowday.tistory.com
'산업·기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ME B16.5 vs B16.47 – 플랜지 규격 차이 정리 (Series A vs B) (0) | 2025.07.04 |
---|---|
ANSI CLASS별 압력 등급표 (ASTM A105 기준) (0) | 2025.07.03 |
클린룸 급기(AHU, FFU)와 배기 설비 구성도 – 설계자용 해설 (0) | 2025.06.29 |
반도체 배관 유체 구분 완전 정리 – HCW, HCH, LCH의 차이와 스팀트랩의 역할까지 (0) | 2025.06.26 |
압력용기 두께 계산식 정리 – ASME Sec.VIII 기준 이해 (0)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