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설비, 압력용기, 배관, 필터 하우징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SUS304와 SUS316L의 내식성 차이를 정리한 실무 가이드입니다. 두 강종은 모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지만, Cr·Ni·Mo 조성의 미세한 차이가 내식성, 용접성, 원가, 적용 범위를 완전히 갈라놓습니다.

화학 조성과 기본 특성 비교
| 항목 | SUS304 | SUS316L |
| Cr(크롬) | 18% | 17% |
| Ni(니켈) | 8% | 10~12% |
| Mo(몰리브덴) | 없음 | 2~2.5% |
| C(탄소) | ≤0.08% | ≤0.03% (Low Carbon) |
| 구조 | 오스테나이트계 | 오스테나이트계 |
| 자성 | 비자성 | 비자성 |
| 가공성 | 우수 | 우수 |
| 용접성 | 우수 | 우수 (탄화물 석출 억제) |
핵심 차이:
316L은 304에 몰리브덴(Mo) 을 첨가하여 염화물 부식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킨 저탄소형 합금이다.
즉, “해수·산·알칼리 환경에 강한 304의 상위 호환.”
내식성(부식저항성) 차이
316L의 진짜 강점은 Cl⁻(염화이온) 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나타난다.
| 부식 유형 | 304의 거동 | 316L의 거동 | 설명 |
| 부동태 파괴 (Pitting) | 쉽게 발생 | 매우 낮음 | Mo 첨가로 부동태피막 안정화 |
| 입계부식 (IGC) | 용접 후 발생 가능 | 거의 없음 | 저탄소화로 Cr-carbide 석출 억제 |
| 균열부식 (SCC) | 고온·응력 환경에서 가능 | 상대적 저항 높음 | 니켈함량 증가 효과 |
| 산부식 (H₂SO₄, HCl) | 취약 | 비교적 우수 | HCl은 여전히 주의 필요 |
요약:
304는 일반 대기·청정수 환경에서 충분하지만,
염분·화학·제약수 라인에서는 316L을 사용해야 장기 내식성이 확보된다.
실제 적용 환경 비교
| 산업 | 권장 소재 | 이유 |
| 제약수(WFI, PW) | 316L | 낮은 탄소로 용접 후 내식성 유지, Electropolish 가능 |
| 반도체 DIW | 316L | 초순수 내이온화수 환경, 미세부식 방지 |
| 식품·음료 설비 | 316L | 산성세정, NaOH 세정 반복 |
| 화학·플랜트 | 316L | 염산, 황산 등 약산 환경 |
| 일반 배관, 탱크, 구조물 | 304 | 비용 효율성 우수, 대기용 |
| 압력용기, 스키드 | 304/316L 혼용 | 외벽 304, Wetted Part 316L |
부식 메커니즘 요약

- 304: Cr₂O₃ 기반의 부동태 피막 형성. 그러나 Cl⁻이 침투 시 국부 파괴 → Pitting 발생.
- 316L: Cr₂O₃ + MoO₃ 복합 피막 → 피막 재생능력 강화 → 부식속도 1/10 수준.
- L (Low Carbon) 의 역할: 용접 시 CrC 석출 억제 → Grain Boundary Cr 결핍 방지.
부식시험(ASTM G48 기준)에서 304는 50°C에서 피팅 시작,
316L은 70°C까지 안정 상태 유지.
경제성 비교
| 항목 | 304 | 316L |
| 원자재 단가(2025년 기준) | 약 1.0 | 약 1.35배~1.4배 |
| 가공성 | 매우 우수 | 약간 낮음 |
| 용접 후 산세처리성 | 양호 | 우수 |
| 수명비용 (TCO) | 짧음 | 길음 (부식·세정주기 감소) |
316L은 초기비용이 높지만,
제약·화학라인 기준으로 3~5년 이상 교체주기 연장 효과가 보고됨.

실무 판단 기준
| 상황 | 선택 권장 |
| 일반 용수, 실내 배관 | 304 |
| CIP·세정수, 약산성 세정액 | 316L |
| 염소계 환경, 해수, 습식라인 | 316L 필수 |
| 강산·유기용제 | PTFE/PVDF 라이닝 or Alloy 20 |
| 고온 (>120°C) | 316L (열팽창 안정)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316과 316L의 차이는 뭔가요?
A. L(Low Carbon)은 용접 후 입계부식 방지를 위한 저탄소형이며, 고온 세정·살균 공정에 적합합니다.
Q2. Electropolishing 후 304와 316L의 표면 거동 차이는?
A. 316L은 피막 재생성이 우수하여 EP 후 내식성 손실이 거의 없습니다. 304는 산세 후 재부동태화 필요.
Q3. 304로 제작된 하우징을 316L로 교체할 필요가 있을까?
A. 세정약품이 NaOH 2% 이하라면 유지 가능,
그러나 Cl⁻ 50ppm 이상 환경이면 교체 추천.
SUS304와 316L은 단순 대체재가 아니라 환경 조건에 따라 명확히 구분해야 하는 소재다.
내식성 기준만 놓고 보면 316L이 우위지만,
“304 + 관리” vs “316L + 무관리” 는 현장 비용상 거의 비슷하다.
따라서 최종 선택은 유체 성상 + 세정제 성분 + 유지보수 여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카트리지 필터 선정의 실무 기준 – 유체·여과등급·재질·유량 순서로 판단하는 이유
카트리지 필터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건 “어떤 유체를, 어떤 목적(Pre·Final·Critical)에, 어떤 환경에서” 여과하느냐다.제품 스펙보다 우선은 공정 조건이고, 정답은 없다. 단지 공정에 맞는 ‘
www.nowdaylab.com
압력용기 산안 갑종/을종 구분 기준 – 실무 정리
산업안전보건법상 압력용기는 ‘갑종’ 또는 ‘을종’ 설비로 구분되며, 각각 적용되는 검사 절차, 서류 요건, 인증 대상 여부가 다릅니다. 특히 설계압력과 용기 크기를 기준으로 실무 적용이
www.nowdaylab.com
스테인리스 vs 탄소강 용접 – 재질별 특징과 주의사항
스테인리스와 탄소강 용접의 차이점, 주의사항, 용접 조건, 후처리 방식까지 정리했습니다. 실무자를 위한 재질별 용접 가이드입니다.1. 서론: 금속이 다르면, 용접도 달라야 한다현장에서 자주
www.nowdaylab.com
'산업·기술 자료 > 기타 산업기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가스기능사 계산기 허용 기종군 안내표 (0) | 2025.09.18 |
|---|---|
| 3중수소(³H, 트리튬, Tritium)가 방사능을 띠는 이유 (0) | 2025.09.16 |
| 펌프의 분류 이해하기 (터보형 /용적형) (0) | 2025.09.16 |
| 가스기능사 법규·기초 20문항 모의고사 (0) | 2025.09.14 |
| KGS 코드 핵심 암기표 (0) | 202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