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8

ANSI CLASS별 압력 등급표 (ASTM A105 기준) ANSI(미국 기계학회) 기준에 따라 배관 구성 요소(플랜지 등)에 사용되는 ANSI CLASS는 다음과 같은 압력-온도 등급표를 따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재질인 ASTM A105 (탄소강) 기준의 ANSI CLASS별 최대 허용 압력 (Pressure Rating)을 정리한 표입니다.ASME Class란?ASME Class는 플랜지, 밸브, 피팅류 등 압력용 부품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허용 압력 등급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Class 150, 300, 600, 900, 1500, 2500 단위로 구분되며, 온도와 재질에 따라 허용 압력이 달라집니다.ANSI CLASS별 압력 등급표 (ASTM A105 기준) 온도 (°C) CLASS 150 CLASS 300 CLASS 600 CLASS 900.. 2025. 7. 3.
배관 설계 압력 기준 – KOSHA, ASME, API 기준 비교와 실무 적용 이 글에서는 배관 설계 시 기준이 되는 압력(Design Pressure)을 KOSHA, ASME, API 등의 규정에 따라 어떻게 정하는지를 비교하고, 실무에서 자주 적용되는 압력 산정 방식과 유의사항을 정리합니다. EPC 프로젝트나 배관 시스템 설계 시 혼동되기 쉬운 '운전압력 vs 설계압력 vs 시험압력'의 차이도 명확히 짚어드립니다.1. 설계 압력이란 무엇인가?설계 압력(Design Pressure, DP)은 배관, 압력용기, 밸브 등의 기계요소가 안전하게 견뎌야 할 최대 기준 압력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정상 운전압력보다 높은 값을 설계 압력으로 잡아야 하며, 이는 다음의 목적을 충족하기 위함입니다:순간 압력 상승(수격, 유량 변화 등) 대응시험 압력(압력 시험) 산출 기준배관 등급(Material.. 2025. 7. 3.
클린룸 급기(AHU, FFU)와 배기 설비 구성도 – 설계자용 해설 이 글에서는 클린룸의 급기(AHU, FFU) 및 배기 흐름 구성과 HEPA 필터 조합 방식, 제약 vs 반도체 클린룸의 공조 차이, 차압 유지 및 필터 교체 주기를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1. 클린룸 공조 시스템 개요클린룸의 핵심은 ‘입자 제거’와 ‘차압 유지’입니다. 이를 위해 외기와 재순환 공기를 조절하는 급기/배기 시스템이 정밀하게 설계됩니다.급기 시스템 구성 구성 요소 기능 AHU (Air Handling Unit)외기와 재순환 공기를 냉각·가열·제습·가습 후 공급Pre Filter (예비 필터)외기 중 대형 먼지 제거HEPA/ULPA 필터0.3μm 이하 초미세 입자 제거 (효율 99.97% 이상)FFU (Fan Filter Unit)청정도 최상 유지. 필터+팬 일체형으로 천장에 직접 설치 배기 .. 2025. 6. 29.
동진쎄미켐 주가 분석 – High‑NA EUV PR 국산화와 CNT 음극재, 성장 본격화 시점은? 동진쎄미켐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사업 구조, 최근 4개년 재무 흐름, 첨단 소재 성장성(EUV PR, CNT 음극재), 투자 매력과 리스크 요인을 정리합니다. 신사업 진척도와 업황 방향에 따라 주가 리레이팅 가능성도 분석합니다. 1. 기업 개요 및 사업 구조동진쎄미켐(005290)은 반도체·디스플레이용 감광액(PR) 및 전자재료를 주력으로 하며, 자체 포토레지스트 기술을 확보한 국내 대표 소재 기업입니다. 여기에 연료전지, 배터리 소재 등으로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입니다.주요 사업 부문 부문 세부 설명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감광액(PR), CMP 슬러리, SOC 등 생산. High‑NA EUV PR 양산 단계발포제PVC/고무용 발포제 ‘UNICELL’ 브랜드 – 비주력이나 안정적 현금 창출2차전지/연.. 2025. 6. 27.
2025년 6월 26일(목)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1. 시장 개요6월 26일 국내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KOSPI는 3,079.56포인트로 ▼28.69p(▼0.92%) 하락했으며, KOSDAQ도 ▼10.26p(▼1.29%) 내린 787.95에 마감했습니다. 선물 지수는 ▼3.95p(▼0.94%) 하락하며 전반적인 약세 흐름을 나타냈습니다.2. 투자자 동향 구분 개인 외국인 기관 KOSPI+8,325억-5,806억-4,080억KOSDAQ+2,379억-1,683억-559억선물-1,239계약-2,235계약+3,672계약콜옵션+6,375계약-5,923계약-157계약풋옵션-2,326계약+2,253계약+61계약 3. 프로그램 매매 동향 구분 전체 차익 비차익 KOSPI-1,026억+453억-1,479억KOSDAQ-1,733억-95억-1,637억 4.. 2025. 6. 26.
반도체 배관 유체 구분 완전 정리 – HCW, HCH, LCH의 차이와 스팀트랩의 역할까지 이 글에서는 반도체 플랜트 배관에서 사용되는 주요 유체(HCW, HCH, LCH)의 구분 기준, 온도 범위, 적용 배관 재질, 스팀트랩의 역할과 선정 방법을 실무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1. HCW, HCH, LCH란? 구분 약어 의미 공급온도 주요 용도 고온순수수 (고온공급)HCWHot Clean Water약 80~90℃온수식 온도 제어, 세정용고온냉각수 (순환수계열)HCHHot Chilled Water약 40~60℃CMP, Etcher 등 온도 안정저온냉각수 (저온공급)LCHLow Chilled Water약 10~20℃반응기 냉각, 일반 냉각HCW는 UPW(Ultra Pure Water) 기반의 고온수로, 세정과 온도 제어를 동시에 담당합니다.HCH는 저온 냉각 후 약간 가열된 냉각수로, 온도 .. 2025. 6.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