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플랜트 및 실험실, 제조 현장에서 가스를 사용하는 설비의 배관 시공은 단순한 공사가 아닙니다. 고압가스는 누출 시 폭발, 화재, 질식과 같은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단계부터 자재 선정, 시공, 검사, 운영까지 전 과정에서 정밀한 기준과 경험 기반의 시공 관리가 필수입니다.
1. 배관 재질 선정 – 사용 목적에 맞는 적합성 확보
가스 배관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는 사용되는 가스의 성질과 배관 재질의 적합성입니다. 부식성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탄소강 배관은 부적절하며 STS304/316 계열의 스테인리스 배관이나 구리 동관이 요구됩니다. 또한 고압가스일 경우 KGS 인증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법적으로도 의무입니다.
- 도시가스/일반 연료가스: 탄소강 관(CS, SCH40 이상), 연신관 등 사용 가능
- LPG 및 고압가스: 스테인리스, 구리관, 합금강 등 KGS 인증 자재 필요
- 부식성 가스: PFA 라이닝 파이프 또는 Alloy 소재 사용
2. 배관 경로 설계 – 누설 최소화와 보수 용이성 고려
배관 경로는 가능한 한 직선으로, 짧은 거리로 설계되어야 하며, 공기 흐름이나 환기 시스템과 간섭되지 않도록 계획해야 합니다. 또한 장기 운용 시 배관 교체나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한 구조도 고려해야 합니다.
- 기울기 확보: 수분이나 액화 가스 응축물 배출을 위한 기울기 필요
- 배관 지지대 간격 준수: 배관 처짐, 진동 방지를 위한 고정 필수
- 배관 식별 표시: 가스 종류, 흐름 방향, 위험성 정보 라벨링
3. 접합부 공정 – 용접 vs 나사식 vs 플랜지 접합
가스 배관은 연결부에서 누설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접합 방식별로 정해진 시공 기준과 검사 절차를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
- 용접 시공: 내부 비드 품질, 루트 간격, 퍼지 가스 관리 등 고급 용접 기술 요구
- 나사 접합: PTFE 테이프나 액상 실런트 사용 시, 반드시 가스용 인증 제품 사용
- 플랜지 접합: 균일한 토크 체결 및 전용 가스켓 사용, 체결 후 토크 재확인
4. 기밀시험 – 공기 또는 질소로 사전 누설 확인
모든 배관은 운전 전에 반드시 기밀시험을 거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압축 공기 또는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정해진 압력 기준으로 일정 시간 동안 누설 여부를 확인합니다.
- 기준: 운전압력의 1.5배, 또는 설계압력 기준으로 시험
- 방법: 압력계 관찰, 비눗물 점검, 전자식 가스 감지기 사용
- 기록 보존: 기밀시험 결과는 검사 일지로 보관 필요 (KGS 검사 대상 시 필수)
5. 법규 및 인증 기준 – KGS 코드,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준수
국내 산업용 가스 배관은 한국가스안전공사(KGS)의 설치기준과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규제를 받습니다. 일정 규모 이상 시설은 설계 도면 제출 → 시공 검사 → 완공 검사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미이행 시 가동 중단이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6. 운영 전 점검 사항 – 안전 확보를 위한 사전 준비
- 가스 경보기 작동 여부 확인
- 밸브 및 레귤레이터 상태 점검
- 배관 흔들림 또는 진동 유무 점검
- 배관 내부 청정도 확보 (도포 제거 등)
- 현장 작업자 안전 교육 이수 여부 확인
결론: 가스 배관 시공은 단순한 배관 연결 작업이 아닌, 전문성과 법규 준수, 안전관리 역량이 결합된 고난도 작업입니다. 시공 전 준비, 공정별 체크리스트, 완료 후 점검까지 꼼꼼히 관리해야 합니다. 가스라는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문 시공사와의 협업도 중요하며, 모든 기록은 향후 감리 및 유지보수 대비를 위해 정리되어야 합니다.
가스 압력 단위 & 변환 계산법 – bar, kg/cm², psi 정리
bar, kg/cm², psi 등 자주 쓰이는 압력 단위를 쉽게 비교하고 변환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현장 실무자, 가스기능사 수험생 모두에게 꼭 필요한 압력 계산 공식과 예제 문제까지 포함되어 있습니
nowday.tistory.com
플랜트 탱크 부속명칭 총정리 – Nozzle, Manhole, Saddle까지
서론 – 탱크 도면 속 이름, 다 이해하고 있나요?플랜트 설계 도면에서 자주 등장하는 탱크.그러나 막상 도면에 “SD”, “MH”, “SK”, “OF”, “LL” 같은 기호가 있으면"이게 뭐였지?" 하고 한
nowday.tistory.com
TIG 용접 실수 Top5 – 신입이 자주 저지르는 문제와 실전 팁
TIG(텅스텐 아크 용접)는 미려한 비드와 정밀 제어로 인해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티타늄 등 고급 재료 용접에 필수적이다. 하지만 높은 완성도와 반대로,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에게는 가장 실수
nowday.tistory.com
플랜트 도면 기호 30선 – P&ID 기호 심화 해설
플랜트 설비, 배관 설계, 유지보수 업무를 하다 보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것이 도면(P&ID, PEFS 등)이다.그런데 도면 속에 등장하는 기호(Symbol)들은 생소할 수 있다.특히 배관 도면에서는 펌프, 밸브
nowday.tistory.com
'산업·기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랜트 배관의 방폭 구역 설정 기준 – 위험지역 구분과 적용 예시 (1) | 2025.06.16 |
---|---|
ASME 압력용기 제작 프로세스 완전 정복 – U-Stamp 없이 제작 가능한가? (0) | 2025.06.14 |
가스 압력 단위 & 변환 계산법 – bar, kg/cm², psi 정리 (0) | 2025.06.13 |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10년 분석 – 과목별 출제빈도 TOP 20 (1) | 2025.06.09 |
가스기능사 계산문제 완전 정리 – 자주 나오는 5가지 유형과 실전 예시 (0) | 202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