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플랜트 설계4

압력용기 두께 계산식 정리 – ASME Sec.VIII 기준 이해 압력용기 두께 계산식 정리 – ASME Sec.VIII 기준 이해이 글에서는 ASME Section VIII Division 1 기준에 따른 압력용기 두께 계산의 기본공식과 사용 변수, 부식 여유(Corrosion Allowance), 설계압력 개념을 설명합니다. 실무 설계 시 적용되는 최소 두께 계산 방식과 실사용 예시도 함께 다룹니다.1. 기본 개념설계압력 (Design Pressure): 운전 조건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압력 + 마진 포함설계온도 (Design Temperature): 기계적 성질 변화를 고려한 고온/저온 조건부식 여유 (Corrosion Allowance): 내부식성 또는 운전 중 마모를 고려한 추가 두께2. 셸 두께 계산 공식 (내압 기준)t = (P * R) / (SE - 0.6.. 2025. 6. 19.
FF 플랜지와 RF 플랜지 차이점 완벽 정리 – 구조, 용도, 선택 기준까지 왜 FF와 RF의 차이를 알아야 할까?배관 설계나 압력용기 연결부 설계 시, 플랜지(Flange) 종류는 설비의 안정성과 누설 방지에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특히 FF(Flat Face)와 RF(Raised Face)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입이며, 둘 사이의 구조적·기능적 차이는 실무 설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두 플랜지의 차이를 구조, 압력 등급, 적용 분야 중심으로 정리합니다.핵심 개념 설명 – FF와 RF 플랜지란? 구분 FF 플랜지 (Flat Face) RF 플랜지 (Raised Face) 표면 형상완전히 평평한 접촉면중심부가 약간 돌출된 구조가스켓 접촉전면적 접촉중심부 좁은 면적 접촉주요 특징표면 전체로 하중 분산집중된 면적에 하중 작용사용 압력낮은 압력 계통중~고압.. 2025. 4. 29.
압력용기 경판(Head) 종류 완전 정리 – 2대1, 반구형, 콘형 비교 가이드 압력용기(Pressure Vessel)는 액체나 기체를 내압 상태에서 보관·이송하는 핵심 설비다.이 압력용기의 양 끝단에는 ‘경판(Head)’ 또는 ‘End Cap’이 필수로 들어간다.하지만 현장에서는 도면에 “2대1 경판”이라만 적혀 있어도그게 정확히 어떤 형상이고, 왜 그걸 써야 하는지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이번 포스트에서는 2대1 타원형, 반구형, 콘형, 플랫형 등 주요 Head 타입을도면 해석부터 설계 기준, 응력 특성, 적용 조건까지 완벽하게 정리한다.Head의 역할과 기본 원리 역할 설명 내압 유지탱크 내부 압력을 견디는 마감 구조응력 분산직선부와 달리, 곡면부를 통해 응력을 부드럽게 분산내용물 흐름 조절액상/기체 유로 형성의 관점에서도 영향설계 코드 대응ASME VIII, K.. 2025. 4. 15.
플랜트 도면 종류 완전 정리 – P&ID, PEFS, GA, ISO 도면의 차이와 용도 플랜트 설비 도면의 종류와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P&ID, PEFS, GA, ISO 도면의 정의와 실무 적용 사례를 통해 설계와 시공 흐름을 이해하세요.1. 서론 – 설계 도면이라고 다 같은 도면이 아니다“이거 GA 도면인가요, P&ID인가요?”“도면은 있는데 시공을 못하겠어요.”플랜트 설계 도면에는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형식, 정보, 해상도, 관점이 존재한다.특히 설비 배관과 관련된 도면은 설계→승인→제작→시공→운전 단계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이번 글에서는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P&ID, PEFS, GA, ISO 도면의 역할과 차이를 정리한다.2. 도면의 기본 분류 도면명 전체 명칭 목적 P&IDPiping & Instrumentation Diagram배관 흐름 + 계장 제어PEFSProces.. 2025.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