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플랜트 도면 해석2

플랜트 탱크 부속명칭 총정리 – Nozzle, Manhole, Saddle까지 서론 – 탱크 도면 속 이름, 다 이해하고 있나요?플랜트 설계 도면에서 자주 등장하는 탱크.그러나 막상 도면에 “SD”, “MH”, “SK”, “OF”, “LL” 같은 기호가 있으면"이게 뭐였지?" 하고 한 번씩 멈칫하게 됩니다.특히 제작사양서(DS)나 발주 기술요구서(TS)에서는이들 부속 명칭을 기본 전제로 적어놓기 때문에구조적 위치와 용도를 정확히 아는 것이 설계자·시공자 모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압력용기 및 Atmospheric Tank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부속 명칭 15개 이상을실제 구조 기준 + 도면 약어 + 설계 시 고려사항까지 포함해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탱크의 기본 구조Shell: 탱크의 원통형 중심부Bottom: 액체가 저장되는 하단 평판Roof: 탱크의 상단부 (Fix.. 2025. 4. 21.
P&ID 보는 법 완전 정리 – 실무자가 자주 실수하는 해석 포인트 5가지 P&ID 도면 해석 시 자주 발생하는 실수 5가지를 정리하고, 실제 현장에서 도면을 읽는 방법과 해석 순서를 실무 중심으로 안내합니다.1. 서론 – 심볼만 아는 건 ‘읽는 것’이 아니다“심볼은 외웠는데… 도면을 보니 하나도 모르겠어요.”“어디서부터 읽어야 하죠?”P&ID는 설계자의 설계 의도, 운전 방식, 계장 제어가 모두 담긴 기술 문서이자 언어다.이번 글에서는 실제 실무에서 P&ID를 해석할 때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 5가지와올바른 해석 순서, 체크포인트를 정리한다.2. 실무자들이 자주 실수하는 해석 포인트 5가지① 흐름 방향을 제대로 못 잡는다배관은 왼쪽 → 오른쪽, 위 → 아래 방향으로 흐름이 표시되지만,분기/환류/루프 구성일 경우 헷갈리기 쉬움유체 흐름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음→ 이걸 놓.. 2025. 4.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