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기술 자료/가스기능사

펌프의 분류 이해하기 (터보형 /용적형)

by NOWDAY 2025. 9. 16.

펌프는 크게 터보형(동력형, Dynamic pump)용적형(Positive displacement pump) 두 가지로 나눕니다.


터보형 펌프와 용적형 펌프
터보형 펌프 (왼쪽) / 용적형 펌프 (오른쪽)

1. 터보형 펌프 (Dynamic Pump)

원리

  • 회전하는 임펠러(날개)가 유체에 운동에너지를 줌 → 속도가 압력으로 변환 → 유체 이송.
  • 즉, 속도/압력 에너지 변환 방식.

특징

  • 유량이 크고 연속적.
  • 토출압은 임펠러 회전 속도와 구조에 따라 결정.
  • 토출 밸브를 닫으면 유량은 0이 되지만 펌프 자체는 계속 회전 가능(압력 상승 제한).

대표 예시

  • 원심펌프(Centrifugal pump)
  • 축류펌프(Axial flow pump)
  • 혼류펌프(Mixed flow pump)

2. 용적형 펌프 (Positive Displacement Pump)

원리

  • 고정된 용적(Chamber) 안에 유체를 가두고, 피스톤·기어·스크류 등으로 강제로 밀어내어 이송.
  • 즉, 정해진 체적만큼 직접 밀어내는 방식.

특징

  • 유량이 회전수(Stroke)에 거의 비례 → 토출압과 무관하게 일정 유량 공급.
  • 토출 밸브를 막으면 압력이 무한정 올라가서 위험 → 반드시 안전밸브 필요.
  • 고압·소유량·정밀 이송에 유리.

대표 예시

  • 왕복동펌프(Reciprocating pump: 피스톤, 플런저, 다이어프램)
  • 로터리펌프(Rotary pump: 기어, 베인, 스크류, 로브)

3. 차이 요약

구분 터보형 (Dynamic) 용적형 (Positive displacement)
구동 원리 날개 회전 → 운동에너지 일정 체적 가둬 밀어냄
유량 특성 회전수·압력에 따라 변동 회전수에 비례, 일정
압력 고유량·저중압 저유량·고압
토출 밸브 닫으면 유량 0, 펌프 계속 회전 가능 압력 무한 상승(위험)
예시 원심펌프, 축류펌프 피스톤펌프, 기어펌프

✅ 정리

  • 터보형: “날개로 속도 주고 압력 변환” → 고유량, 연속 공급.
  • 용적형: “강제로 밀어내기” → 일정 유량, 고압, 정밀 제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