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마감 지수
- KOSPI: 2,486.64 (-1.78p, -0.07%)
- KOSDAQ: 716.12 (+0.67p, +0.09%)
- 선물: 328.55 (-0.15p, -0.05%)
- 2025년 4월 22일 |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혼조된 수급 속 상승 마감… 외국인 매도, 기관 방어

1. 투자자 동향
| 구분 | 개인 | 외국인 | 기관 |
| KOSPI | +1,667억 | -2,420억 | +106억 |
| KOSDAQ | +246억 | -118억 | +68억 |
| 선물 | +1,330계약 | +1,531계약 | -2,931계약 |
| 콜옵션 | +478계약 | +334계약 | -578계약 |
| 풋옵션 | +1,257계약 | -1,402계약 | +2,376계약 |
- 해석: 외국인은 현물(KOSPI)에서 대규모 순매도를 보이며, 선물에서는 동시에 대규모 순매수를 기록. 선물과 옵션에서 엇갈리는 포지션은 방향성 혼조 및 방어적 포지션 구축으로 해석 가능.
- 기관은 선물/풋옵션 중심 방어적인 포지션 유지, 변동성 확대에 대비하는 모습.
2. 프로그램 매매 동향
| 지수 | 전체 | 차익 | 비차익 |
| KOSPI | -1,557억 | -541억 | -1,016억 |
| KOSDAQ | -56억 | +19억 | -75억 |
- 해석: 전일 대비 프로그램 매도는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순매도 유지. 기관 수급은 방어적이지만 전반적으로는 수급 부담 존재.
3. 종목 등락 분포
| 시장 | 상한 | 상승 | 보합 | 하락 | 하한 |
| KOSPI | 1 | 642 | 65 | 613 | 0 |
| KOSDAQ | 13 | 691 | 111 | 905 | 0 |
- 상승 종목 수는 많지만, 하락 종목 수도 많아 체감 장세는 혼조.
- KOSDAQ 상한가 13개는 시장 참여 심리 개선 조짐으로도 해석 가능.
4. 글로벌 지표 요약
| 구분 | 등락폭 | 등락률 |
| 다우지수(DOW) | +971.82 | +2.48% |
| NASDAQ | +415.55 | +2.55% |
| S&P500 | +124.50 | +2.36% |
| WTI유가 | +1.60 | +2.49% |
| 원/달러 | +3.70 | +0.26% |
- 미국 증시 급등 영향으로 아시아 시장 심리도 다소 회복되었지만, 외국인 매도 우위 지속은 반등 지속성에 의문을 남김.
5. 종합 해석 및 투자 전략
- 외국인은 선물 순매수 및 현물 매도로 방향성 혼재.
- 기관은 선물·옵션 매도 집중 → 방어적 포지션 강화
- 프로그램 매매는 여전히 매도 우위, 시장 전반의 체력 부족 신호
단기 전략
- 변동성 확대 대비 필요. 지수 반등에도 수급 불안 지속
- 선물·옵션 시장 중심 중립 전략 유효
중장기 전략
- 코스닥 내 AI, 배터리 소재, 저평가 기술주 관심 유효
- 외국인 수급 전환 확인 전까지 현금 비중 유지 권고
반응형
'NOWDAY ORIGINAL > 한국 증시 리포트 (주간·일간·수급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상법 개정으로 달라질 한국 증시 – 이재명 정부의 기업지배구조 개혁 분석 (0) | 2025.06.04 |
|---|---|
| 2025년 4월 25일(금)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26 |
| 2025년 4월 21일(월)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21 |
| 2025년 4월 17일(목)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17 |
| 2025년 4월 16일(수)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