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 마감 기준:
- KOSPI: 2,293.70 (-40.53, -1.74%)
- KOSDAQ: 643.39 (-15.06, -2.29%)
- 선물: 304.65 (-5.90, -1.90%)
시장 요약:
전일 대비 KOSPI, KOSDAQ, 선물지수 모두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외국인의 대규모 선물 매도와 프로그램 순매도가 시장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나스닥, S&P500 등 미국 증시가 상승 마감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국내 시장은 차익실현 및 기관 매도세가 강하게 작용했습니다.
1. 투자자 동향
| 구분 | 개인 | 외국인 | 기관 |
| KOSPI | +9,388억 | -10,048억 | -698억 |
| KOSDAQ | +835억 | -966억 | +193억 |
| 선물 | +2,060계약 | -5,682계약 | +3,689계약 |
| 콜옵션 | +20,035계약 | -655계약 | -24,168계약 |
| 풋옵션 | -30,529계약 | +40,441계약 | -9,235계약 |
2. 프로그램 매매 동향
| 구분 | 전체 | 차익 | 비차익 |
| KOSPI | -9,566억 | -540억 | -9,026억 |
| KOSDAQ | -582억 | +218억 | -801억 |
3. 당일 선물 및 옵션 시장 주요 특징
- 외국인 선물 순매도 5,682계약, 콜옵션 순매도 / 풋옵션 대량 순매수로 하방 헷지 포지션 강화.
- 기관은 선물 순매수 전환(+3,689계약) 및 풋옵션 순매도, 리스크 완화 성격.
- 개인은 선물/콜옵션 순매수, 풋옵션 순매도로 방향성 베팅 강화. 반등 기대감 지속.
- 옵션 시장에서는 외국인의 강한 풋옵션 매수가 주목되며, 시장 하락 가능성에 적극 대응.
4. 경제 지표 & 이슈
| 날짜 | 이벤트/지표 | 예상치 | 실제 발표 | 시장 영향 |
| 4/8(화) |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 예고 | 2.7% YoY | 발표 전 | 발표 앞두고 긴장감 확대 |
| 4/9(수) | 美 나스닥 -2.15% 급락 | - | - | 국내 기술주 투자심리 위축 |
| 4/9(수) | NIKKEI +3.93% 급등 | - | - | 엔화 약세 영향, 일본 증시 차별화 상승 |
| 4/9(수) | WTI 원유 +1.84% 상승 | - | - | 에너지 관련주 강세 재료 가능 |
5. 종합 분석
- 외국인은 현물(KOSPI, KOSDAQ), 선물, 콜옵션에서 모두 순매도, 풋옵션 대량 순매수로 시장 하방 포지션을 집중적으로 구축.
- 기관은 선물 및 콜/풋 옵션에서 혼조세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대응.
- 개인은 저점 매수 유입이 있었으나, 단기 반등 기대감 대비 외국인의 전략적 하방 포지션이 더 강력.
6. 시장 전망
- 다 필요없이 전세계 증시와 경제는 사실 트럼프에게 달려있다. 대중무역 관세를 밤사이 104%를 부과하겠다고 밝혀 현지에서는 아이폰이 사재기 되는등 실제 체감 경기마저 위협하고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아직 바닥이 나오지 않았다고 생각함, 하락의 근원=트럼프 의 행보 가 이제 막 시작되었으며 중국도 가만히 있지 않고 대미관세 상승을 방금 발표했다. 어쩌면 역사적인 매수타점을 트럼프가 주고있다고 좋게 생각하련다.
- 기술적 반등 여력은 존재하지만, 외국인의 전방위 매도세 및 글로벌 기술주 하락이 지속될 경우 추가 하락 압력 가능성 존재.
- 특히 옵션 시장에서의 외국인 풋옵션 대량 매수는 향후 변동성 확대 및 하방 리스크를 암시.
-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증시 반등 여부와 미국 물가지표(PPI) 발표 결과가 핵심 변수.
7. 투자자 전략 제안
- 보수적 접근 권고: 외국인 중심 하방 포지션 구축 상황 고려 시 저점 매수는 신중히 접근.
- 선물/옵션 트레이딩 전략: 풋옵션 매수 또는 스프레드 전략을 통한 리스크 관리 필요.
- 기술주 및 성장주 비중 축소, 단기적으로는 원유 등 실물자산 연동 종목군 선별적 접근 고려.
반응형
'NOWDAY ORIGINAL > 한국 증시 리포트 (주간·일간·수급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4월 15일(화)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 외국인 선물 매수 전환, 기관 중심 상승 (0) | 2025.04.15 |
|---|---|
| 2025년 4월 10일(목)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10 |
| 2025년 4월 8일(화) 선물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08 |
| 2025년 4월 7일(월) 선물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07 |
| 2025년 4월 7일~11일 국내 증시 전망: 글로벌 무역 갈등과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의 영향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