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시장 마감 요약
|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 KOSPI | 2,505.86 | +15.53 | +0.62% |
| KOSDAQ | 684.85 | +6.60 | +0.95% |
| 선물 2506 | 337.40 | +2.55 | +0.75% |
시장 주요 특징:
이틀 연속 상승 흐름. 외국인은 현·선물 매도 지속, 기관은 선물 강력 매수로 지수 방어.
코스닥은 개인 중심으로 바이오, AI 관련주 중심 상승세.
환율 급등(1,462원)과 글로벌 금리 불확실성에도 기술적 반등세가 유지됨.
2. 투자자별 거래 동향
| 구분 | 개인 | 외국인 | 기관 |
| KOSPI | +4,791억 | -7,272억 | +1,479억 |
| KOSDAQ | +2,509억 | -2,672억 | +269억 |
| 선물 | +2,901계약 | -10,806계약 | +7,296계약 |
| 콜옵션 | +13,275계약 | -11,965계약 | -1,395계약 |
| 풋옵션 | -2,049계약 | -4,065계약 | +4,790계약 |
3. 프로그램 매매 동향
| 시장 | 전체 | 차익 | 비차익 |
| KOSPI | -7,424억 | -359억 | -7,065억 |
| KOSDAQ | -2,796억 | +49억 | -2,846억 |
4. 당일 선물·옵션 시장 주요 특징
- 외국인, 현·선물 대규모 동시 매도. 선물 -1만 계약 이상 매도하며 하방 포지션 확대
- 기관, 선물 +7,296계약 순매수 → 시장 방어에 결정적 역할
- 콜옵션은 개인 대규모 매수세 유입, 외국인은 콜·풋 모두 정리 → 방향성 불확실성 반영
- 풋옵션은 기관 매수 집중 → 하방 리스크 대비 전략 강화
P/C Ratio는 하락 안정 흐름이나, 외국인의 강한 선물 매도세는 여전히 부담 요인
5. 경제 지표 & 글로벌 이슈
| 날짜 | 이벤트/지표 | 예상치 | 실제 발표 | 시장 영향 |
| 4/1(화) | 미국 ISM 제조업지수 | 48.4 | 50.3 | 깜짝 확장 전환, 경기 낙관 강화 |
| 4/2(수) | 한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 +3.0% | +3.1% | 인플레이션 우려 재확산, 금리동결 예상은 유지 |
| 4/3(목) | 미국 ADP 비농업 고용지표 | 150k | TBD | 고용 강세 시 긴축 가능성 재점화 우려 |
| 4/5(금) | 미국 고용보고서 (Non-Farm) | 200k | TBD | 주 후반 글로벌 시장 변동성 변수 |
6. 종합 분석
개인
- 현·선물 전반에서 공격적 매수 확대
- 옵션에서도 콜 대량 매수, 풋은 대규모 매도 → 상승 쪽 기대치 강함
외국인
- 전면 매도 흐름 지속, 선물 -1만 계약 이상 매도는 리스크 헷지 혹은 차익 실현 가능성
- 옵션 정리 흐름은 포지션 중립화로 해석
기관
- 선물 +7천 계약 강한 매수, 지수 방어 의지 뚜렷
- 풋옵션 매수 확대는 하방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대응 해석
7. 시장 전망
전일에 이어 오늘도 상승세를 보였지만, 수급 흐름은 여전히 외국인 vs 기관·개인 간 힘겨루기 양상이다.
특히 외국인은 현·선물 모두 매도 강화, 이례적으로 콜·풋 정리를 통해 포지션을 가볍게 만드는 모습.
시장 참가자들은 주 후반 발표될 미국 ADP 및 고용보고서를 앞두고 포지션을 축소하며
관망세로 전환하는 흐름이 확대되고 있다.
당분간 시장은 단기 반등세가 이어질 수 있으나, 외국인 수급 복귀 여부와
미국 고용지표 결과에 따른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
반응형
'NOWDAY ORIGINAL > 한국 증시 리포트 (주간·일간·수급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4월 4일(금) 선물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05 |
|---|---|
| 2025년 4월 3일 증시리뷰 (0) | 2025.04.03 |
| 2025년 4월 1일(화)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01 |
| 최근 증시 하락의 부족한 반등 요인 분석 (0) | 2025.03.31 |
| 2025년 3월 31일(월)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