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투자자 동향
구분 | 개인 | 외국인 | 기관 |
KOSPI | -640억 원 | -746억 원 | +684억 원 |
KOSDAQ | +885억 원 | +65억 원 | -922억 원 |
선물 | -318계약 | +2,190계약 | -1,947계약 |
콜옵션 | -649계약 | -2,050계약 | +1,703계약 |
풋옵션 | -3,306계약 | +1,022계약 | +354계약 |
2. 프로그램 매매 동향
구분 | 전체 | 차익 | 비차익 |
KOSPI | -1,702억 원 | +191억 원 | -1,893억 원 |
KOSDAQ | -294억 원 | -180억 원 | -113억 원 |
3. 당일 선물 및 옵션 시장 주요 특징
- 외국인이 선물 시장에서 +2,190계약 순매수 전환 → 최근 매도세 일단락.
- 콜옵션은 외국인이 대규모 매도 지속, 기관은 방어적 매수 포지션.
- 풋옵션은 개인이 대규모 매도하며 상승 기대감을 보였으나, 외국인과 기관은 일정 수준의 하방 대비 유지.
- 프로그램 매매는 KOSPI에서 1,700억 순매도로 지수 상단 제한.
4. 경제 지표 & 이슈
날짜 | 이벤트/지표 | 예상치 | 실제 발표 | 시장 영향 |
3/22(토) | 중국 대출우대금리(LPR) | 3.45% | 3.45% (동결) | 부양책 지연 우려, 영향 제한적 |
3/25(화) | 미국 내구재 주문 | +1.4% | 발표 예정 | 제조업 회복 기대감 반영 중 |
3/26(수) | 한국 소비자심리지수 | 101.0 | 발표 예정 | 내수 소비 회복 여부 가늠 지표 |
3/27(목) | 미국 GDP 4분기 확정치 발표 | +3.2% | 발표 예정 | 경기 과열/둔화 진단 핵심 이벤트 |
5. 종합 분석
- 개인: 현물과 옵션 모두에서 상승 베팅 지속. 풋옵션 대규모 매도는 하락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미흡하다는 평가.
- 기관: KOSPI에서 방어적 현물 매수, 옵션에서도 콜옵션 매수 → 상승 가능성 대비, 다만 선물은 대체로 중립.
- 외국인: 선물 시장에서 매수 전환하며 단기 심리 개선 확인. 하지만 옵션 쪽에선 콜 매도, 풋 매수 등 방어적 신호 병행.
6. 시장 전망
오늘 국내 시장은 전일 미국 증시의 3대 지수 급등에 힘입어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회복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특히 나스닥이 2.27% 급등하면서 AI/반도체 섹터 중심으로 기대감이 확산되었고, 이는 KOSDAQ의 1.2%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외국인의 선물 매수 전환은 긍정적인 신호지만, 콜옵션은 여전히 매도, 풋옵션은 일부 매수 유지 등 양방향 헷지 전략을 유지하고 있어 단기 상승을 무작정 추종하기보단 신중한 낙관론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추가로, 중국 LPR 동결은 시장에 큰 충격은 없었으나, 추가 부양책 지연 우려는 여전히 글로벌 경기 회복 시나리오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 예정된 미국 내구재 주문과 4분기 GDP 확정치가 시장의 단기 방향성을 결정할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7. 투자자 전략 제안
- 외국인 선물 매수 전환이 단발성인지, 추세적 변화인지 확인 필요.
- KOSDAQ 강세가 이어질 경우 중소형 성장주 단기 트레이딩 기회.
- 콜옵션 매도 vs 풋옵션 매수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음 → 방향성 베팅보다는 중립적 스프레드 전략 고려.
-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전후로 포지션 축소 전략도 유효.
반응형
'NOWDAY ORIGINAL > 한국 증시 일일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장 분석은 쉽니다 (0) | 2025.03.27 |
---|---|
2025년 3월 26일(수)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3.26 |
2025년 3월 24일(월)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3.24 |
2025년 3월 21일(금)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2) | 2025.03.21 |
2025년 3월 20일(목)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3.20 |